우리나라에서 교통량이 가장 많은 도로는 하루 평균 16만 1741대의 교통량이 발생하는 강남대로(한남IC→한남대교)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특정도시 특정도로에서의 차량이 하루 몇 대나, 또 시간대별 얼마나 다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교통량 추정 기술을 통해 이같이 분석됐다고 4일 밝혔다.
국토부와 한국교통연구원은 공공부문 교통량 빅데이터와 민간의 내비게이션 빅데이터를 융합해 교통량 자료가 수집되지 않는 도로까지의 교통량을 추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  | | ↑↑ 교통량이 가장 많은 도로. | ⓒ 뉴스랜드 | | 기존 현장조사의 경우 전국도로대비 교통량 수집량이 3%에 불과했으나, 이제 미관측 도로 교통량 추정알고리즘과 전국단위 빅데이터 처리기술을 통해 기존 조사의 시간과 예산의 제약을 극복하고 전국 95% 도로의 교통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됐다.
또한 기존에 인력식 현장조사를 통해서만 수집할 수 있었던 회전교통량에 대한 교통량 추정기술을 개발해 교차로에서의방향별 교통량을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교통량 자료를 수집하지 않는 지자체에서도 지역의 교통현황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되며 국가교통정책 전반에 유용한 기반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관심 도시와 도로에 대한 추정 교통량이 궁금하다면 ‘View T 1.0’ 온라인 홈페이지(http://viewt.ktdb.go.kr)를 통해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빅데이터는 분야를 넘어서 공유할수록 이용가치가 증대한다”면서 “향후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해 대중교통 이용량까지 포함하는 플랫폼을 만들 계획이며 이를 통해 대규모 SOC 투자사업 지원은 물론 소규모 교통개선사업까지 교통 빅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