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전국 고등학교 5곳 중 1곳에서 결핵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3년간 발생한 학교는 전체의 절반에 해당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결핵 발생률 1위라는 오명을 벗고자 고교 1학년생들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잠복결핵검진 사업에 들어가기로 했다.
30일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 교육부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3년간 결핵환자가 발생(중복발생 제외)했다고 보고한 고등학교는 총 1093개교에 달했다. 이는 전국 2300여개 고등학교의 절반 수준인 48%에 이른다.
이 기간 중복감염을 제외하고 결핵에 걸린 전체 고교생은 1166명이었다.
연도별 결핵환자 발생 고교는 2013년 539개교(총 2322개교), 2014년 480곳(총 2326개교), 2015년 430곳(총 2344개 고교) 등으로 매년 전국 고교의 5분의 1가량에서 결핵환자가 발생하고 있는 셈이다.
우리나라는 매년 3만여명 이상의 신규 결핵환자가 발생하고 2200여명(2015년 통계청 자료)이 결핵으로 사망하는 등 인구 10만명당 결핵 발생비율이 80명, 결핵 사망비율이 5.2명으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
인구 10만명당 OECD 평균 결핵 발생비율은 11.4명, 평균 결핵 사망비율은 1.0명이다.
우리나라 결핵환자를 연령대로 살펴볼 경우 특히 15∼19세와 65세 이상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연령별 신규 결핵환자를 보면 15∼19세는 750명(10만명당 23.5명)으로 10∼14세 102명(10만명당 4.2명)보다 5배 이상 많다.
이에 따라 정부는 결핵 발생률을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4월부터 고교 1학년 학생 중에서 희망자를 대상으로 잠복결핵검진 사업을 시행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1차적으로 초기 결핵환자를 조기 발견해 치료하고 2차적으로는 잠복결핵을 찾아 진료해 결핵 발병을 사전에 차단, 결핵확산을 방지할 계획이다.
고교 1학년생 대상 검진은 전문 검진기관(대한결핵협회)이 학교를 방문해 채혈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또 채혈 시 의료진을 동반해 현장 관리를 강화하는 등 채혈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응급상황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잠복결핵감염 양성으로 확인된 학생에 대해서는 보건소 주관 하에 학생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치료과정과 치료약 부작용 등에 대해 충분한 설명과 안내를 실시한 후 치료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경우에 한해 필요한 추가검사와 잠복결핵 치료를 진행할 방침이다.
보건당국 관계자는 “학부모님들과 일선 고등학교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부탁한다”며 “학생이 2주 이상 기침 등 증상이 있으면 결핵을 의심하고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지도해 달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