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21일 올해 상반기에 임금을 결정한 3691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임금체계 현황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전체 조사된 사업장 3650곳 중 직무·성과 중심으로 임금체계를 개편한 사업장은 12.4%인 454곳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 전체에 걸쳐 임금체계를 개편한 사업장 비중(100인 이상 사업장 1만 283곳 중 556곳, 5.4%) 보다 2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올해 상반기의 임금체계 개편 방식을 보면 사업장별로 상황에 맞춰 다양한 방식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근속·연공급을 축소·폐지하는 비중이 거의 절반(47.7%)에 육박하고 있다. 노조가 있는 사업장(13.5%)이나 없는 사업장(12.3%)에서의 개편율은 비슷했으며, 규모가 클수록 개편율은 소폭 하락했다. 또한 6월말 현재 조사대상 사업장(3691곳) 중 연봉제를 운영 중인 사업장은 36.7%(1356곳)이며, 연봉의 일부를 성과와 연동시키는 성과연봉제를 운영하는 사업장은 12.2%(449곳)였다. 연봉제 도입 사업장 중 성과연봉제 운영 사업장의 비중은 100~300인 미만 30.2%, 300~500인 미만 40.6%, 500인 이상 46.8%로 규모가 클수록 높았다. 한편, 임금체계 개편 계획과 관련해서 조사대상 사업장(3691곳) 중 500곳(13.5%)이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임금체계 개편 계획이 있는 사업장의 대부분은 성과연봉제 도입·확대(42.2%), 근속·연공급의 연공성 완화(33.6%), 집단성과급·각종 인센티브의 평가 차등(30.6%) 등을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체계 개편시 평사원과 관리자급 모두 포괄해 추진하겠다는 사업장이 81.2%를 차지했다. 개편 시기는 1년 이내가 169곳(33.8%)으로 가장 많고, 68개(13.6%)사업장은 현재 개편이 진행 중이다. 고용노동부 임서정 노사협력정책관은 “직무·성과 중심으로 임금체계를 개편하는 사업장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은 현장 노사의 임금체계 개편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기 때문”이라며 “앞으로 성과연봉제 등 기업의 실정에 맞는 직무·성과중심의 임금체계 개편이 더욱 확산될 수 있도록 정부는 개편 우수사례 발굴·홍보 및 컨설팅, 임금정보 제공 등 현장의 임금체계 개편 지원에 총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