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4-13 오후 11:20:15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정치·행정

공무원 18% 유연근무...공직사회 빠르게 확산

상반기 2만 5000명 이용…문체부 80%로 이용률 가장 높아
윤상원 기자 / 입력 : 2016년 09월 13일

유연근무제도가 공직사회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사혁신처는 각 부처의 상반기 유연근무제 이용자는 2만 4679명으로 이용률(전체 인원 대비 이용자 수)은 17.7%로 집계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이용자 1만 8987명(이용률 13.2%)보다 5692명(30%)이나 늘어난 것이다. 이미 지난해 유연근무제 이용자 전체인원 2만 7257명에 육박한 수치다.

유연근무제란 공무원의 근무형태를 개인·업무·기관별 특성에 맞게 다양화 해 공직 생산성을 높이고 공무원의 사기앙양을 도모하기 위한 근무제도이다. 유형별로 시간선택제, 탄력근무제, 원격근무제 등 7가지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유연근무형태는 하루 8시간 근무하면서 출·퇴근 시간을 자율적으로 조정하는 ‘시차 출퇴근형’이 73.4%로 가장 많았다.

또 주 5일 40시간 내에서 하루 근무시간을 자율적으로 조정하는 ‘근무시간 선택형’이 15.2%, 일주일에 15시간∼30시간을 근무하는 ‘시간선택제 전환근무제’가 6.6%였다.

직급별로는 6급 이하 공직자가 80.3%(1만 7550명)를 차지했으며 5급 14.8%(3244명), 4급 이상 4.9%(1072명)였다. 남녀 비율은 각각 62.2%와 37.8%로 조사됐다.

부처별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83.0%로 이용률이 가장 높았으며 ▲인사혁신처 64.6% ▲행정자치부 61.7% ▲국민안전처 59.8% ▲교육부 59.6% ▲특허청 45.7% ▲고용노동부 30.7% 등의 순이었다.

특히 문체부는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로 지정·운영하는 ‘문화가 있는 날’에는 필수 인원을 제외한 모든 직원이 시차 출퇴근제를 활용하도록 독려하고 있었다.

안전처의 동해해경본부 직원들도 시차출퇴근제를 이용해 인명구조 수영강좌, 외국어 강좌를 수강하는 등 유연근무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 주무부처인 고용부는 상반기에 시간선택제 근무제로 전환한 공무원이 203명으로 올해 목표 116명을 초과 달성했다.

정부 부처 최초로 재택근무제를 도입했던 특허청은 손쉽게 재택근무를 신청할 수 있도록 업무시스템을 개선해 상반기에만 심사관 141명(14.3%)가 원격근무제를 이용하고 있다.

김동극 인사처장은 “육아로 어려움을 겪는 여성공무원의 경력단절을 막고 출산을 장려하며 자기계발 등으로 공직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유연근무제를 더욱 활성화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윤상원 기자 / 입력 : 2016년 09월 13일
- Copyrights ⓒ뉴스랜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사설&칼럼
생활의 지혜
가장 많이 본 뉴스
회사소개 대표인사말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상호: 뉴스랜드 /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504길 42-1 일품빌딩 303호 / 발행인.편집인: 최재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재영
mail: news5879@naver.com / Tel: 070 – 8279 – 5879 / Fax : 050 - 4466 - 5879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대구, 아00177 / 등록일 : 2015년 6월 1일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