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4-13 오후 11:20:15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경제·과학

수생균류 미기록종 3종 발견, 활용연구 국내 첫 시도

수생균류를 활용한 수질환경개선 연구 본격 추진 계기 마련
윤상원 기자 / 입력 : 2016년 06월 13일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낙동강 수계 및 인접지역을 대상으로 '담수생물자원 조사·발굴' 사업(2015년 9월~12월)과 현지조사를 수행한 결과, 영주 죽계천과 금계천, 삼척 소한천에서 각각 1종씩 수생균류 미기록종 3종을 발견했다.

3종의 미기록종은 모두 자낭균문에 속하며, 살갗버섯목(Helotiales)의 2종(Margaritispora aquatica, Articulospora tetracladia)과 동충하초목(Hypocreales)의 1종(Aquanectria penicillioides)이다.

이번 수생균류 미기록종 발굴은 담수환경에서 서식하는 균류의 분포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 결과로, 하천에서 낙엽부식성 수생균류의 존재를 국내 최초로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수생균류는 곰팡이의 일종으로 물속에서 사는 균류를 말한다. 용존산소가 풍부한 청정 하천에 주로 존재하며, 수중에서 분해 중인 나뭇잎이나 유기물에서 많이 발견된다.

수생균류는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효소가 잎조직을 분해하여 수서곤충이 섭식하기 좋은 형태로 변환시키는 등 하천생태계의 유기물 분해와 먹이그물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담수환경의 생물다양성 증대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생균류는 유럽과 북미 등지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미개척 분류군이다. 담수생태계에서 수생균류의 기능 규명과 미래 유용생물자원의 선점, 친환경 수질환경 개선 기술개발 기반마련 측면에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조사 및 연구가 필요하다.

관련문헌 조사에 따르면, 수생균류는 카드뮴, 아연 등 중금속 흡착에 관여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번 조사에서 발견된 수생균류에 대해 향후 세부적인 연구를 통해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하는 등 공식적인 검증과정을 거칠 예정이다.

안영희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된 자생 수생균류의 다양성을 토대로 담수환경에 서식하는 수생균류의 기능 규명 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윤상원 기자 / 입력 : 2016년 06월 13일
- Copyrights ⓒ뉴스랜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사설&칼럼
생활의 지혜
가장 많이 본 뉴스
회사소개 대표인사말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상호: 뉴스랜드 /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504길 42-1 일품빌딩 303호 / 발행인.편집인: 최재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재영
mail: news5879@naver.com / Tel: 070 – 8279 – 5879 / Fax : 050 - 4466 - 5879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대구, 아00177 / 등록일 : 2015년 6월 1일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