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처는 지난해 의도치 않게 119를 잘못 눌러 소방상황실에 연결된 오접속신고가 117만건으로 전체 119신고건수(1041만건)의 11%를 차지한다고 지난 달 31일 밝혔다.
오접속은 대부분 잠금기능이 걸린 휴대폰이 바지 주머니나 가방에서 눌러지거나 부모가 준 휴대폰을 유아들이 만지다가 긴급신고 버튼을 눌러서 신고되는 경우로 파악됐다.
스마트폰이 급속히 보급된 지난 2011년도에는 전체 119신고의 약 42%(801만건)가 오접속 돼 119상황실의 소방력 낭비가 심각한 상황이었다.
이에 국민안전처(구 소방방재청)는 이동통신사, 휴대폰제조사와 협업해 긴급전화 신고기능을 연결확인창의 ‘통화’ 버튼을 눌러야만 신고되도록 개선했다.
2012년부터 출시된 휴대폰에 적용한 결과 오접속 건수는 지난 5년간 85%가 감소했으나 여전히 유아가 휴대폰을 만지다가 긴급전화 버튼을 누르는 등 오접속 사례는 계속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오접속 원인을 분석한 결과 아기가 누른 경우가 8703건(78.8%)으로 가장 많았고 주머니 등에서 저절로 눌린 경우 2043건(18.5%), 휴대폰 고장 등 기타 301건(2.7%) 등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