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지역 주민의 생활불편을 해소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2016년 5월 9일부터 ‘지역수요 맞춤지원 사업’의 공모 접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지역수요 맞춤지원사업’은 성장촉진지역을 대상으로 주민, 지역 전문가 등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주민 실생활과 밀접한 소규모 창조융합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작년에 처음 도입된 제도이다.
성장촉진지역은 생활환경·개발수준이 저조한 지역으로 인구변화율, 소득수준 등을 종합평가하여 행자부·국토부 장관이 공동으로 지정·고시한 70개 시·군(‘14년 재지정)이다.
과거에는 주로 도로 등 사회간접자본(SOC) 위주의 기반시설 확충에 역점을 두었다면, 지역수요 맞춤지원 사업은 지역주민 삶의 질 제고와 관련된 소규모 생활밀착형 사업을 지자체 간 자발적인 경쟁을 통해 주민참여형 상향식(Bottom-up)으로 병행 지원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공모에 지원가능한 대상 지자체는 성장촉진지역으로 지정된 70개 시·군으로, 특히 성장촉진지역 시·군중 도별 낙후도 상위 30% 22개 시·군(시도자율선정)인 지역활성화지역에서 공모참여 시에는 가점이 부여(5점, 서면평가 시 적용)된다.
지원사업 대상은 기반시설(H/W)과 문화컨텐츠 등 소프트웨어(S/W)의 융·복합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사업으로, 다양한 사업 아이디어 발굴을 유도하기 위해 공모가능한 사업규모를 세분화하여 총 20개 내외의 신규 사업을 선정할 계획이다.
특히, 교통복지 향상이 시급한 지역활성화지역에 대해서는 수요응답형 교통서비스 개선비용이나 버스정보시스템(BIS) 구축비용 등도 지원한다.
지역수요 맞춤지원 공모접수는 9일부터 시작하여, 23일에 마감할 예정이며, 접수된 사업에 대해 외부 민간위원으로 구성된 평가위원회의 평가를 거쳐 지원사업을 선정하게 된다.(8~9월)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지역수요 맞춤지원을 통해 지역주민 생활과 밀접한 창의적 사업이 발굴되어 추진될 경우, 지역주민 삶의 질 향상은 물론 지역균형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