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2년까지 고등학교 한 학급 학생 수를 OECD 수준인 24명으로 줄이는 방안이 추진된다.
학교 시험도 객관식 지필평가 대신 수행평가를 늘리는 방향으로 바뀐다.
교육부는 25일 시도 부교육감 회의에서 이런 내용이 포함된 ‘고교 맞춤형 교육 활성화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자기주도 학습과 학생 참여 수업이 중시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2018학년도부터 적용되고 중학교 자유학기제에서 진로·적성 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이 고교에 진학하는 점을 고려해 마련됐다.
또 저출산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가 지속하고 내년부터는 고교생 수가 급감하는 만큼 이를 고교 질 개선의 기회로 삼기 위함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대비하고 중학교 자유학기제와 연계해 협력·토론형 수업이 확산할 수 있도록 교육부는 2022년까지 고교 학급당 학생 수를 24명으로 줄이기로 했다. 교사 1인당 학생 수 역시 같은 기간 16.6명에서 13.3명으로 개선할 방침이다.
수업 변화에 맞춰 학교 시험도 객관식 지필평가 대신 수행평가를 늘리는 방향으로 바꾸고, 일부 비평준화 지역에 남아 있는 고입 선발고사는 폐지를 유도한다.
직업계 고교생 비중은 현재 19% 수준에서 2022년까지 30%로 늘린다. 현재 경북, 충남, 울산, 전북, 제주 등 5개 비평준화 지역에서 시행되는 고입 선발고사를 점진적으로 폐지할 방침이다.
비평준화 지역 일반고와 자율형 공립고는 희망 학교 중심으로 자기주도 학습전형을 확대하고, 특성화고 선발도 소질·적성 중심으로 전환해 취업 희망자 특별전형을 늘릴 계획이다.
협력·토론형, 학생 참여형 수업에 맞춰 학교 시험도 객관식 지필평가 비중을 줄이고 과정평가(수행평가)를 늘리는 방향으로 유도할 방침이다.
일반고 중에서 과학, 예술, 체육 교과를 중점적으로 가르치는 ‘교과 중점 학교’는 지난해 130곳에서 올해 200곳, 내년 300곳으로 확대한다.
올해부터 전체 중학교로 전면 확대된 자유학기제에 맞춰 고교 선발시험은 폐지가 추진된다.
아울러 ‘진로교육 집중학기제’ 운영을 올해 37곳에서 2018년 100곳으로 늘리고, 직업계고(특성화고, 마이스터고) 학생 비중은 2022년까지 30%로, 취업률은 65%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