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1일 ‘제21차 6·25전쟁 납북피해 진상규명 및 납북피해자 명예회복위원회’를 서면으로 개최하고 217명을 6·25전쟁 납북자로 추가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2010년 12월 위원회 출범 이후 지금까지 총 4640명이 6·25전쟁 납북자로 공식 인정을 받았다.
위원회는 각 시·도 실무위원회의 사실조사와 소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263명을 심사해 217명을 ‘납북자 결정’으로, 8명은 ‘납북자 비결정’으로, 38명을 ‘납북확인 판단불능’으로 결정했다.
이번에 새로 인정을 받은 217명의 직업별 분포를 보면 농·어업인이 97명으로 44.7%를 차지했고 학생 37명(17.1%), 상공업인이 24명(1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 일반공무원은 12명(5.5%), 경찰·교도관 7명(3.2%). 정치인도 1명 포함됐다.
연령별로는 20대가 104명으로 47.9%의 비율을 보였으며 10대 69명(31.8%), 30대 26명(12.0%) 등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55명(25.3%)으로 가장 많았고 충북 41명(18.9%), 경기 31명(14.3%) 등의 순이었다.
정부는 총 5505건의 신고를 접수해 현재까지 5186건을 처리했다. 이 중 4640명을 납북자로 결정하고 126건은 납북자가 아니라고 판단했으며 420건에 대해서는 판단 불능으로 결정했다.
미결 197건은 올해 9월까지 처리할 방침이다.
아울러 위원회는 그동안의 성과를 모아 최종 자료집 7종을 발간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