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수계 함안천과 금강수계 논산천 등 전국 6개 오염하천이 생태하천으로 탈바꿈된다.
환경부는 통합·집중형 오염하천 개선사업 대상을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선정된 곳은 낙동강수계 함안 함안천, 금강수계 논산 논산천, 영산강수계 광주 장수천과 무안 사교천, 섬진강수계 남원 주촌천, 만경강수계 전주 아중천 등이다.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이 3~6mg/L으로 오염이 심한 이곳 6곳 하천에 앞으로 하수도, 생태하천복원, 가축분뇨처리시설 등 22개 사업이 3~5년 동안 추진된다.
각 사업부문별 한도액의 25% 내외 수준에서 우선 예산을 반영하며 내년부터 2020년까지 국비 1710억 원을 지원한다.
장수천, 아중천 등 도시지역 하천은 해당 지자체가 하수관거 정비, 생태하천복원사업 등을 추진하도록 지원하고 논산천 등 농촌지역 하천은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 개량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을 통해 이들 하천이 생활환경 수질 기준인 Ⅱ등급(좋은 물, BOD 3mg/L이하)으로 개선되면 부유물질 등 미관문제와 함께 고질적인 악취 민원 등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통합·집중형 오염하천 개선사업은 오염된 하천에 하수도, 생태하천복원 등 다양한 개선수단을 단기간(3년~5년)에 집중 지원하는 묶음형(패키지) 수질개선 사업으로 2012년부터 추진됐다.
현재 40개 오염하천을 대상으로 171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그 결과, 대강천은 사업전 생활환경 수질 기준 Ⅳ등급(BOD 7.8mg/L)에서 Ⅱ등급(2.2mg/L)로 계성천은 Ⅲ등급(BOD 3.8mg/L)에서 Ⅱ등급(2.0mg/L)로 각각 개선되는 등 대부분 사업에서 시행 전보다 수질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