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3대 표준화기구 ISO, IEC, ITU에 선언된 우리나라의 표준특허 건수가 최초로 독일을 넘어 세계 5위에 올라섰다.
23일 특허청과 한국지식재산전략원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세계 3대 표준화기구에 선언된 표준특허 전체 건수는 지난해 12월 기준 1만 2099건으로 전년의 1만 1107건 대비 8.9% 증가했다.
이 중 우리나라의 표준특허 건수는 482건에서 782건으로 62.2% 증가해 전체 증가율보다 약 7배 더 많이 늘어났다.
2009년만 해도 대한민국은 독일의 절반에 미치지 못하고 네덜란드에 근소하게 앞선 6위였다.
그러나 지난 2009년부터 6년간 핀란드 다음으로 빠르게 증가하며 독일과의 격차를 좁혀온 결과 마침내 5위를 달성한 것이다.
주요 국가 순위에서는 미국이 1위를 유지한 가운데, 핀란드가 노키아의 알카텔(프랑스) 인수에 힘입어 일본을 제치고 2위에 올랐고 프랑스는 전년대비 322건 감소하며 4위에 머무른 것으로 조사됐다.
전 세계 기업·기관 중에서는 핀란드의 노키아가 2466건으로 가장 많은 표준특허를 선언했다.
국내 기업·기관 중에서는 삼성전자가 360건으로 세계 3위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고 ETRI는 연구기관 중 유일하게 세계 10위(국내 2위)에 포함됐으며 중소·중견기업 중에서는 26건의 표준특허를 선언한 휴맥스가 세계 66위(국내 4위)에 올랐다.
기술 분야별로 살펴볼 때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코딩 및 멀티미디어 통신 분야에서 가장 많은 표준특허가 선언됐다.
우리나라는 초전도체 접합, 주사 탐침 현미경 및 통신보안 분야에서 세계 1위며 특히 초전도체 접합과 주사 탐침 현미경 분야의 표준특허는 우리나라만 보유한 것으로 밝혀졌다.
세계 3대 표준화기구 외에 산업계에 영향력이 높은 유럽과 북미 지역의 전기전자·통신 분야 표준을 제정하는 ETSI 및 IEEE에서도 우리 기업·기관들이 활발하게 표준특허를 선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세계 3대 표준화기구에 ETSI 및 IEEE까지 합산할 경우 미국(2만 1804건) 다음으로 9706건으로 세계 2위까지 순위가 올라간다.
ETSI와 IEEE에 선언된 표준특허는 통상 3대 표준화기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2017년까지 세계 표준특허 4강 달성에 대한 전망은 상당히 밝다.
여기에서는 LG전자가 6021건으로 노키아, 퀄컴에 이어 전체 순위가 세계 3위로 올라가며 삼성전자는 2929건으로 다소 낮아진 세계 7위가 된다.
김태만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장은 “멀게만 느껴졌던 표준특허 세계 4강 진입이 가시화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관계 부처와 협력해 중소·중견기업 및 대학·공공연의 우수기술이 표준특허로 창출되도록 지원하는 등 저변 확대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표준특허 통계는 각종 표준화기구의 신규 표준특허 데이터 업데이트 시점을 반영해 반기별로 작성되고 있으며 표준특허센터 홈페이지(www.epcenter.or.kr)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