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 연근해에서 붉은대게 어획량은 전년 동기 대비 300% 이상 급증하고, 고등어는 3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는 2016년 1월 어획량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주요 품목별 생산량은 오징어 1만1,425톤, 고등어 6,785톤, 갈치 2,831톤, 삼치 1,961톤, 붉은대게 1,343톤 등이다.
붉은대게는 명절 수요증가에 대비한 어획노력량 증가로 위판량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삼치는 수온변화에 따른 동중국해로의 남하 회유 지연으로 어획량이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했으며, 갈치는 내유 자원량 증가 및 제주도 및 남해 해역 어장 형성으로 생산이 40% 늘었다.
고등어와 전갱이는 제주도 주변해역 어장 미형성으로 어획량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0%와 40% 감소했으며, 오징어도 한파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로 생산량이 22% 줄었다.
국제유가 하락, 세계 경기둔화 등 악재로 글로벌 소비심리가 악화되면서 수산물 수출물량은 39만6천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3% 하락했으며, 금액 기준으로는 12억8200만 불로 14% 감소했다.
굴은 생산 부진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1%가 감소한 1500만 불을 수출했다.
참치는 16만3천 톤을 수출하여 물량 기준 9.2% 증가하였으나 참치 국제가격 하락으로 수출금액은 10.7% 감소한 3300만 불에 그쳤다.
오징어 역시 수출물량은 3만6천 톤으로 8.5% 증가하였으나 원양산 오징어 생산 증가에 따른 가격하락으로 수출금액은 7.3% 감소한 5400만 불이다.
수산물 수입물량은 11만7천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9.6% 감소했으며, 금액 기준으로도 3억8400만 불로 6.7% 감소했다.
주꾸미는 1200만 불로 19.8% 감소했으며, 낙지는 1600만 불로 18%, 게는 2900만 불로 12% 감소했다.
반면, 갈치는 수입 금액기준 800만 불로 24.9% 증가했으며, 참치는 1300만 불로 3%, 오징어는 1억5900만 불로 1.4% 증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