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9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연쇄 전화 통화를 갖고 강력한 대응을 위한 공조를 재확인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11시20분께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전화를 받고 북한의 핵실험에 이은 장거리 미사일 발사 관련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양 정상은 통화에서 북한의 핵실험과 탄도 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발사에 대한 국제 사회의 단합된 대응을 위해 우선 안보리에서 강력하고 실효적인 대북 제재 결의가 채택될 수 있도록 한미 양국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유엔 안보리 결의와 별도로 양자 및 다자 차원에서의 다양하고 강력한 대북 제재 및 압박조치가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 하고 이를 위해 함께 긴밀히 협력키로 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통화에서 “북한의 이번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의 명백한 위반으로서 미국 뿐 아니라 동맹국의 안전에 대한 직접적 위협”이라며 “미국의 한국에 대한 방위공약이 흔들림 없을 것”이라고 재확인했다.
이에 박 대통령은 “한미 양국을 비롯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핵실험에 이어 탄도 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발사를 감행했다”며 “이는 국제평화와 안정에 대한 정면 도전으로서 결코 용납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박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 대응에 있어 기본적인 토대는 강력한 대북 억지력의 확고한 유지”라면서 오바마 대통령이 한반도 안보 공약을 재확인하고 단호한 대응 의지를 표명해 준데 대해 사의를 표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북한으로 하여금 핵개발-경제건설의 병진노선이 결코 성공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깨닫도록 국제적으로 단합된 의지하에 필요한 구체 조치들을 취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이날 오전 11시50분께 아베 신조 일본 총리로부터도 전화를 받고 북한이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최대한 강력하고 실효적인 내용의 유엔 안보리 결의안이 채택될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두 정상은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 북한이 핵실험에 이어 이번에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강행한 것은 국제평화와 안정에 대한 정면 도전으로서 결코 용납할 수 없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압박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유엔 안보리 결의와는 별도로 양자 및 다자 차원에서 다양한 제재 조치를 강화해 나가자”고 강조했다.
이에 아베 총리는 “유엔 안보리 차원에서의 제재와는 별도로 일본 정부의 독자 제재 조치를 취하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이 미·일 정상과 통화한 것은 북한의 4차 핵실험 다음날인 지난달 7일 연쇄통화를 가진 이후 한 달여 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