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4일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북한이 지난 1월 6일 실시한 핵실험에 이어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강행할 경우 혹독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임을 경고하고 발사 철회를 촉구하는 분명하고 단합된 메시지를 보내는 등 국제사회와 긴밀히 공동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와 관련해 중국과 러시아를 포함한 주요 안보리 이사국, 그리고 유엔 차원에서도 이미 강력한 사전 경고메시지를 보냈다”고 덧붙였다.
특히 우다웨이 중국 6자회담 수석대표의 방북과 관련해 “방북 결과에 대해서는 한·중 간에 긴밀히 소통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 대변인은 “중국은 지난 3일 외교부 대변인 브리핑을 통해 엄중한 우려를 표명하면서 북한이 신중하게 행동할 것을 언급했다”고 말했다.
조 대변인에 따르면 러시아도 같은 날 외교부 대변인 성명을 통해 “북한이 보편적 국제 규범을 노골적으로 무시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경고하며 “근시안적인 행보의 대가를 실제적으로 계산할 것”을 촉구했다.
아울러 프랑스도 외교부 대변인 성명을 통해 “북한의 발사는 새로운 국제의무 위반으로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응이 따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조 대변인은 “정부는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단호히 대처하고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응하기 위해 유엔 및 관련국들과 긴밀한 소통과 조율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강력한 안보리 제재의 필요성을 언급한 것에 대해서는 “정부는 유엔안보리 결의를 통한 제재와 더불어 양자 차원의 제재, 그리고 국제사회의 단합된 압력조치들을 상호 추동하는 방식으로 추진해 나감으로써 북한의 전략적 셈법을 변화시키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는 유엔안보리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므로 그동안 받아온 제재보다도 더욱 강력한 제재를 국제사회로부터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