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가 ‘제5차 국가정보화 기본계획(2013~2017)’에 따라 확정한 2016년도 국가정보화 시행계획 종합·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정보화 시행계획 규모는 총 8105개 사업에 5조 3804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전년대비 1710억 원(3.3%) 증가했다.
중앙행정기관은 1462개 사업(신규 128개)에 4조 3344억 원을 투자하며, 지방자치단체는 6643개 사업(신규 1066개)에 1조 460억 원(행자부 집계)을 투자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부는 올해 정보화사업을 통해 국정과제와 경제혁신 3개년 계획 등을 지원하고 사물인터넷(IoT)·클라우드컴퓨팅·빅데이터 등 ICT 신기술을 지속적으로 확산해 창조경제를 실현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최근 ICT 신기술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관련 분야에는 전년대비 각각 96%(2015년 692억 → 2016년 1356억), 76%(2015년 1937억 → 2016년 3418억), 108%(2015년 698억 → 2016년 1453억)수준으로 정보화예산 투입이 크게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사회·경제 인프라 고도화 및 일자리창출 등을 위해 국민체감 효과가 큰 문화·관광, 웰니스, 교통, 금융 등 다양한 ICT 융합 사업이 신규로 추진되는데 문화·관광분야에는 관광지 스마트 체험 서비스 제공에 20억 원, 박물관·미술관 전시문화관람 안내 선도서비스 제공에 15억 원이 투입된다.
웰니스 부문에는 건강 고위험자, 만성질환자 등 유형별 맞춤형 웰니스 케어 서비스 모델 개발 및 제공에 90억 원이, 교통분야 ICT 기반 교통신호제어시스템 표준 보안기술 개발 및 실증에는 37억 원, 금융분야 핀테크(Fintech) 산업 활성화 기반 조성하는데 30억 원이 투입된다.
미래부 강성주 인터넷융합정책관은 “2016년 국가정보화 시행계획을 통해 국정과제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성공적 완수 등 정보화가 국민 행복 및 창조경제 실현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히고 “특히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및 빅데이터 등 ICT 신기술에 대한 활발한 투자로 관련 신산업이 육성되고 사회현안이 해결되는 등 국민편익을 제고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래부는 19일 오후 2시부터 양재 엘타워에서 국가정보화 사업 수행에 관심 있는 SW와 ICT 업체들을 대상으로 주요 시행계획 설명회를 개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