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는 12일 북한의 4차 핵실험과 관련, “이번 북한의 핵 도발은 중국에게도 엄중한 도전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중국 정부로서도 북한이 자신의 무모한 행동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러야 할 것이라는 입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조 대변인은 “북한의 기습적인 핵실험 직후 한·중 양국은 외교장관 레벨, 그리고 6자회담수석대표 레벨에서 협의를 가진 바 있다”며 “(양국은)유엔안보리 차원에서는 결의 채택과 그 이후 대북제재의 실효적 이행방안에 대해 집중적인 논의를 현재 진행 중에 있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우호적인 한국과 중국의 관계는 한반도의 평화 공고화, 그리고 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전략적 자산”이라며 “중국의 대북한 정책에도 중장기적으로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고, 북한의 반복되는 도발은 이러한 추세를 더욱 심화시킬 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북한 핵실험에 대해 중국 여론의 대다수가 단호한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도 이러한 추세를 단적으로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안에 대해서는 “지난 6일(뉴욕 현지시간) 안보리 긴급회의에서 이사국들은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강력히 규탄하고 안보리 차원에서 신규 제재결의를 즉각 추진하기로 의장언론 성명을 통해 결정한 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사국들 간에 결의초안에 대해서 협의가 시작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현재 그 결의안 문안 작업이 시작되고 있는 단계”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