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안에 일정기간 체류가 가능하도록 생활편의시설을 갖춘 비상대피시설 22개소가 접경지역에 추가로 설치된다.
박인용 국민안전처 장관은 7일 경기 김포시 화성면 마조리 경보시설 등을 찾아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현장 비상대비태세를 점검하고 이같이 밝혔다.
안전처는 북한의 포격 등 군사적 도발에 대비해 접경지역에 비상대피시설 12개소를 설치할 계획이었으나 22개소로 10개소를 추가하기로 했다.
박인용 장관은 “새로 짓는 대피시설에는 일정기간 체류가 가능하도록 생활편의시설을 갖춰 평상시에도 주민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설치한 접경지역 대피시설은 168곳이다.
박 장관은 마조리 주민들과 가진 간담회에서는 “지난해 8월 북한지뢰 도발과 포격에도 국민들이 성숙한 안보의식을 바탕으로 북한의 위협을 잘 극복했다”며 “굳건한 한미동맹과 군의 철저한 대비태세를 믿고 안심하고 생업에 전념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어 박 장관은 중요시설 방호실태와 민방위 경보시설, 경보통제소 비상근무, 관내 주민대피시설 점검 및 유사시 대피 안내준비 등 비상대비지침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살폈다.
한편, 안전처는 전날 북한의 핵 실험 발표 이후 즉시 위기대응반 1단계를 가동하고 비상대비지침을 시달했다. 전국 소방관서 및 해양경비안전관서에는 비상근무태세 강화를 지시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