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와 울산광역시가 동해안연구개발특구 지정에 힘을 모은다. 지난 2011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캠퍼스(DUP) 유치를 위해 손잡은데 이어 5년여 만에 양 시·도가 다시 공조체계를 가동한 것이다.
도와 시는 4일 경주 힐튼호텔에서 김관용 경북도지사와 김기현 울산시장, 이강덕 포항시장, 최양식 경주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동해안연구개발특구 공동추진 업무협약을 했다.
|  | | ↑↑ 동해안연구개발특구 공동추진 업무협약식. | ⓒ 뉴스랜드 | | 연구개발특구 지정 신청에 앞서 특구 육성 종합계획을 확정하고,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다. 양 시·도는 공동 신청 및 후속 행정절차 이행, 대정부 설득, 대내외 공감대 형성, 지정 당위성 홍보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또 특구 육성을 위해 양 시·도는 ‘글로벌 첨단 융복합 비즈니스 클러스터 조성’을 목표로 첨단에너지부품소재, 첨단바이오메디컬·바이오헬스, 에너지자원개발을 3대 특화분야로 정했다.
포항·경주와 울산에서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며, 산업수요와 성장잠재력이 큰 분야다.
경북은 주력 신성장산업인 탄소복합재, 3대 가속기 기반을 활용한 바이오(BT)산업, 원자력 안전·해체 산업 등을 집중 육성한다.
울산은 자동차산업과 연계한 연료·이차전지, 경량화소재, 게놈 기반 바이오기술 분야 등을 키운다.
특구 전체면적은 23.1㎢(경북 12.4㎢·울산 10.7㎢)이다. 포스텍 일원 글로벌 연구개발거점지구, 울산대·울산과학기술원(UNIST) 중심의 첨단연구개발거점지구를 핵심으로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 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 등을 사업화 촉진지구로 발전시킨다.
특히 동해안특구는 전국에서 2개 시·도가 공동으로 추진한 최초의 초광역 특구로 그 의미가 크다. 내년 상반기 울산∼포항간 고속도로가 개통되면 접근성도 크게 개선돼 지역 간 협력이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구 육성을 통해 국가주력산업 고도화와 신산업 육성 등 환동해권의 발전도 앞당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구로 지정되면 연구개발 촉진, 기술이전, 창업 지원 등에 해마다 국비 약 100억 원을 투입한다. 연구소기업과 첨단기술기업에는 세제혜택을 제공한다. 특구를 개발 시 도로 등 인프라사업에도 국비를 우선 지원한다.
양 시·도는 이달 중 미래창조과학부에 공동으로 특구 지정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포항·경주와 울산은 유라시아와 환동해권 진출을 위한 거점 지역으로, R&D역량과 탄탄한 산업 등 성공적인 특구 육성에 완벽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면서 “지역민의 오랜 염원인 특구를 반드시 유치할 있도록 모든 역량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포항시, 경주시, 대학, 상공회의소 등 관·학·연 주요 기관들은 양해각서 체결식에서 특구 지정 대정부 건의문을 채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