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4-13 오후 11:20:15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문화

‘유교책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305개 문중서 기탁한 6만4226장 목판…경북의 세계적 자산으로 육성
윤상원 기자 / 입력 : 2015년 10월 13일

한국국학진흥원(안동시 도산면 소재)에 소장돼 있는 ‘유교책판’이 지난 9일(아랍에미레이트 현지시각) 유네스코 지정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지난 4~6일(현지시각)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린 ‘제12차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의(IAC)’에서 한국의 ‘유교책판’이 ‘등재권고’ 판정을 받은 후 9일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이를 최종 추인했다.

↑↑ 유네스코 지정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유교책판.
ⓒ 뉴스랜드
이에 따라 이날 ‘유교책판’은 한국에서 12번째, ‘KBS특별 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는 13번째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가 확정됐다.

‘유교책판’은 305개 문중에서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한 718종 64,226장의 목판으로,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저작물을 인쇄·발간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이러한 자료들은 최근까지 주로 문중이나 서원 등 민간에서 보관해 오던 것으로 경상북도의 지원과 한국국학진흥원의 수집·보관 등 10여 년간에 걸친 노력과 등재 신청 준비를 통해 이번에 최종적으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기에 이른 것이다.

‘유교책판’은 1460년 청도의 선암서원에서 판각된 ‘배자예부운략(排字禮部韻略)’으로부터 1955년에 제작된 책판까지, 시대를 달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내용들로 구성돼 있다.

이 가운데에는 ‘퇴계선생문집’ 책판과 같은 학술적 가치가 뛰어난 책판으로부터 근대 출판 역사를 한 눈에 살필 수 있는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판각한 책판도 있다. 박문서관은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출판사이자 서점으로 1907년 서울에 설립됐다.

국제자문위원회의에서는 ‘유교책판’이 공론(公論)을 통해 그 제작의 당위가 결정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공동체 출판의 형태를 띠고 있다는 점과 유교책판 내용의 진정성에 주목했다.

특히 출처와 시대가 다른 기록물을 한 곳에 모아 신청한 것은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한국에서 처음 시도한 사례며, 이는 유네스코가 추구하는 ‘컬렉션’을 중시하는 현 시책에 부합된다는 점도 세계기록유산 등재의 큰 요인이 됐다는 후문이다.

한편, 목판이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기는 팔만대장경과 베트남 응웬왕조 목판에 이어 세 번째다.

윤상원 기자 / 입력 : 2015년 10월 13일
- Copyrights ⓒ뉴스랜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름 비밀번호
개인정보 유출,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지역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사설&칼럼
생활의 지혜
가장 많이 본 뉴스
회사소개 대표인사말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상호: 뉴스랜드 /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504길 42-1 일품빌딩 303호 / 발행인.편집인: 최재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재영
mail: news5879@naver.com / Tel: 070 – 8279 – 5879 / Fax : 050 - 4466 - 5879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대구, 아00177 / 등록일 : 2015년 6월 1일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