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올 여름 최고기온이 38.3℃를 기록하는 등 20년만의 폭염에도 불구하고, 단 1명의 폭염 사망자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2일 밝혔다.
올 여름 대구는 폭염경보 11일간, 폭염주의보 13일간 등 총 24일간 폭염특보가 발효됐으며, 열대야도 10일간 지속됐다. 또 8월에는 최고기온이 38.3℃까지 올라 20년만의 최고기온을 기록했다.
기록적인 폭염 속에서 온열질환자는 53명이 발생해 전원 회복했으며, 사망자는 1명도 발생하지 않아 인명피해는 없었다. 농축산물 등 폭염으로 인한 재산상 피해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대구시가 폭염대응 종합대책을 시민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추진한 것이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했다.
폭염에 취약한 독거노인과 노약자에 대해서는 재난도우미 1,700여명이 안부전화와 방문활동을 통해 건강을 체크하고 관리했으며, 달성공원, 두류공원 등 다중집합장소에서는 자원봉사자들이 시원한 병입 수돗물과 부채를 어르신들에게 나눠주며 건강보호에 나섰다.
또 자율방재단과 뜻있는 독지가들이 어려운 이웃들에게 선풍기(179대), 생필품, 생수 등을 지원해 시민들의 이웃사랑 온정을 느끼게 했다.
산업․건설현장에서는 민간의 협조를 통해 무더위 휴식시간제를 운영해 오후시간 동안 근로자 25,800여명이 쉴 수 있도록 했다.
이밖에도 폭염으로 인한 시민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종합적인 대책을 추진했는데, 도심 온도를 낮추기 위해 수경시설 170개소와 쿨링포그를 운영했으며, 주요 간선도로의 클린로드 시스템 및 살수차를 확대 운영했다. 또 폭염 시 잠시 쉴 수 있도록 냉방기가 구비된 무더위 쉼터 894개소를 지정․운영하고, 도시철도역사에 쉼터를 마련했으며, 신천 등 무료 물놀이장 6개소를 운영해 11만 6천여 명의 시민이 이용했다.
폭염정보와 대응요령도 다각적으로 홍보해 시민불편해소와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위해 노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