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수목원은 우리 고유명절인 한가위를 맞아 ‘목화, 피마자, 수수’ 등 다양한 작물과 ‘꽃무릇, 벌개미취’ 등 가을꽃이 어우러져 도시에서는 보기 힘든 색다른 볼거리를 시민과 관람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수목원 중앙분수광장에 솔솔 부는 가을바람을 맞으며 들어서면, 살랑살랑 나부끼는 잎 사이로 하얗게 익은 솜뭉치가 팝콘처럼 팡팡 튀어나와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곧 터질듯 한 빵빵한 열매도 가득 머금고 있으니, 이것이 바로 ‘목화’다.
|  | | ↑↑ 대구수목원 | ⓒ 뉴스랜드 | | 요즘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없는 ‘목화’를 바로보고 있으니, 고려시대 말 원나라에서 귀양살이하던 문익점이 몰래 붓뚜껑 속에 목화씨를 감춰 들여와, 가난한 백성들이 목화솜에서 뽑은 실로 무명옷을 만들고 솜을 넣어 솜옷과 솜이불로 겨울을 날 수 있게 해주었던 따뜻한 마음이 전해지는 듯하다.
이곳에 함께 심어져 있는 새빨간 줄기와 커다란 잎을 가진 큰 키의 ‘피마자’는 ‘아주까리’라고도 불리는데, 연붉은색의 암꽃과 점점 연한 황색으로 익어가는 수꽃이 붉은색 줄기의 한그루에 나란히 피어 보기에도 이색적이다. 피마자 씨에서 짠 기름인 피마자유는 설사약, 화장품 등에 폭넓게 쓰이고 있다.
이밖에도 오곡밥의 재료인 ‘수수’와 ‘조’를 심어 우리 고유 명절인 한가위를 맞아 이곳을 찾는 시민들에게 이색적인 볼거리와 가을 농촌정취를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수목원 곳곳에 등불을 밝히듯 피어있는 붉은 ‘꽃무릇’과 연한 자주색 융단을 펼쳐놓은 듯한 ‘벌개미취’ 등 가을을 알리는 꽃들이 가득하다.
이에 수목원은 높고 푸른 가을하늘 아래 한 폭의 그림과 같아 카메라를 연신 들게 하는 즐거움이 가득한 거대한 포토존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