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로드 경주 2015’가 수도권으로 영역 확대를 위해 준비한 ‘실크로드 융복합 축제(9.3~13)’ 메인 프로그램(차례)인 ‘All that CHOOM(올댓춤·춤의 모든 것)’이 8일과 9일 양일간 서울 동숭동 대학로극장에서 관객과 만난다.
|  | | ↑↑ ‘올댓춤’의 연출을 맡은 배우 박상원. | ⓒ 뉴스랜드 | | ‘올댓춤’은 한국무용가 최청자 세종대 석좌교수의 ‘불림소리’와 국수호 디딤무용단 예술감독의 ‘미마지’, 현대무용가 박명숙 경희대 명예교수의 ‘바람에게 길을 묻다’, 김순정 성신여대 교수의 ‘길을 담다 초연’ 등 안무가 4명의 대표작을 묶은 공연이다.
한국무용, 현대무용, 전통 춤, 발레 등 네 가지의 각기 다른 춤을 봄, 여름, 가을, 겨울로 표현했다. 겨울은 봄을 잉태하고, 여기에 더해 아침, 점심, 저녁, 밤 그리고 아침을 잉태한 밤의 모습을 그린다. 또 탄생과 성장, 노년기와 죽음 등 인간의 삶을 표현한 작품이다.
아울러 프롤로그와 에필로그를 음악과 춤을 결합한 라이브 공연으로 준비해 관객들과 함께 느끼고 공감할 수 있도록 했다.
|  | | ↑↑ ‘실크로드 융복합 축제’ 포스터. | ⓒ 뉴스랜드 | | 오랜 기간 소통과 교류를 통해 문화를 꽃 피어온 실크로드의 대표적 정신을 표현한 이번 작품은 각기 다른 춤을 통해 하나의 몸짓, 하나의 무대, 하나의 언어를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문화의 화합과 소통 다시 말해 융복합의 대명사인 바로 실크로드 정신을 대변하고 있다.
특히 이번 공연은 배우 박상원(서울예술대학교 연기과 교수)씨의 첫 연출작으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그가 무용으로 돌아 온 것 자체가 큰 이슈(논점)이기 때문이다.
박 교수는 대한민국 제1호 남자 현대 무용수다. 그는 지난 1979년부터 80년대 초까지 무용계에서 활동하면서 한국무용가 최정자 씨 예술단원으로, 현대무용가 박명숙 경희대 교수 작품에 출연하기도 했다. 그는 또 전통 춤의 대가 국수호 씨의 제자였다.
박 교수는 작품에 대해 “올댓춤은 실크로드 정신이다. 실크로드 하면 융복합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다. 오랜 기간 실크로드 선상의 나라와 도시 그리고 그 속에서의 사람들이 서로 교류하며 살아온 모습을 안무가들의 눈으로 되돌아보며 춤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실크로드의 긴 여정처럼 네 가지 각기 다른 춤이 하나로 연결돼 계절과 삶, 시간의 흐름을 표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번 공연은 또 경주문화엑스포가 ‘실크로드 경주 2015’를 수도권 주민들에게 알리려는 시도라는 점도 화제다. 지방에서 이뤄지는 행사가 수도권 사람들의 마음에 닿기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경주문화엑스포는 이런 어려움 점을 뛰어 넘기 위해 특별한 시도를 했다.
경주엑스포 이동우 총장은 “국민 배우 박상원씨가 연출하고 대한민국 춤의 대가들이 보여 주는 이런 공연은 두 번 다시 만나기 쉽지 않다”며 “이를 통해 ‘실크로드 경주 2015’가 전국적인 문화 축제로서 인정받는 계기가 되고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해 대한민국 문화산업 성장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