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원자력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이하 원해연) 경주 유치를 위해 대구시와 함께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  | | ↑↑ 업무협력 협약식. | ⓒ 뉴스랜드 | | 이를 위해 경북도와 대구시, 경주시 관계자는 지난 31일 도청 제1회의실에서 상호 업무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공동협력체계를 구축했다.
협약에 따라 3개 자치단체는 국가 미래 에너지정책 사업, 원해연 등 원자력 관련 연구개발사업, 원자력안전 대국민캠페인(홍보), 에너지절약 캠페인 및 국가 에너지 정책 발전사업 등 참여기관의 발전을 위한 포괄적인 사업에 대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도는 지난해부터 원해연 유치를 위해 한전KPS,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전력기술, 두산중공업 등 국내 원전핵심기관과 협력관계를 구축해 왔다.
경주시도 지난해 8월 원해연 유치 추진단을 결성해 중앙정부를 상대로 지속적으로 유치 의향을 전달하고, 지난 4월에는 지역 산·학·연·관 17개 기관과 상호협력 협약을 체결하는 등 원해연 유치를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
대구시의 경우 국가 원전 정책의 발전을 위해 원전시설이 밀집된 경주가 원해연이 들어설 최적지라고 판단, 큰 결단을 내리고 협력하게 됐다.
이인선 경제부지사는 “원해연 유치를 위한 이번 협약이 국가 미래 에너지정책에 앞장서 나가는 대구경북의 상생발전의 모범사례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3월 미래부가 광역 지자체를 상대로 원해연 유치 의향을 조사한 결과, 경북을 비롯한 총 8개 지자체에서 의향서를 제출했다.
도는 국내 가동원전 24기 중 12기가 운영되고 있는 최대 원전 집적지이다. 향후 해체 수순을 밟아야 할 원전수요가 가장 많이 분포돼 있어 수요와 공급에 따른 명분이 가장 일치되는 지역이기도 하다.
국내 유일의 중수로원전 4기와 방폐장 입지, 인구저밀집의 넓은 임해 부지를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설계, 건설·운영, 폐기 등 원전 해체 전문기관이 모두 포진돼 있어 가장 효율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곳으로 평가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