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침체된 지역경제에 힘을 불어넣는 자리를 마련했다. 도는 27일 경주세계문화엑스포 문화센터에서 도내 유관기관·단체 회원들과 23개 시군의 기업인, 소상공인 등 8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지역경제살리기 범도민 결의대회’를 가졌다.
|  | | ↑↑ ‘지역경제살리기 범도민 결의대회’ | ⓒ 뉴스랜드 | | 이번 결의대회는 최근 그리스 사태·중국 경기 둔화·메르스로 인한 소비 위축, 수출 악화 등의 지역경제 위기를 함께 극복하자는 다짐의 장이다.
이날 행사는 지역경제동향 보고, 지역경제 활성화 우수사례 발표, 범도민 지역경제살리기 결의문 채택 순으로 진행됐다.
우수사례로 발표된 구미 새마을 중앙시장은 삼성전자, 영도벨벳, LIG넥스원 등 지역의 37개 기업과 식재료 납품 협약을 채결해 안정된 수익창출 효과를 거둠으로써 전통시장 활성화의 모범사례로 꼽히고 있다.
또 영주의 정도너츠는 지역 농·특산물을 활용해 6차산업화에 성공한 대표적 사례다. 지역민의 소득증대 및 일자리창출에도 기여해 올해 경북도 지역경제살리기 최우수 사례로 선정됐고, 지난 6월에는 전국 지역경제살리기 경진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
이날 행사의 하이라이트(주요 부분)는 모든 참가자들이 한마음으로 지역경제살리기 범도민 결의문을 채택하는 순간이었다.
참석자들은 결의문을 통해 지역경제가 빠른 시일 내에 회복될 수 있도록 골목상권 회복 운동, 1사 1전통시장 갖기 운동, 전통시장 장보기 등 소상공인 살리기에 앞장서기로 했다.
또 지역특산물 구매 및 홍보, 선물하기를 통해 내수 소비촉진에 솔선수범하며, 내 고향에서 여름휴가 보내기, 기업연수 도내 관광지이용, 지역별 특화 축제 참여 등으로 지역 관광산업 활성화에 동참하기로 합의했다.
아울러 투자와 일자리 창출에도 최선을 다하기로 다짐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지난 18일 지역의 메르스 사태가 종식됨에 따라 이제 지역경제 살리기에 온 힘을 모아야 할 때다”며 “내수회복에 고비가 될 수 있는 여름 성수기(한철)에 300만 도민 모두 지역경제 살리기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경북도는 메르스 사태 초기 여행사 예약 83% 취소, 호텔 등 숙박업 예약 60% 취소, 전통시장 방문객 30% 감소, 외식업 매출액 15% 감소, 울릉도 관광객 70% 감소 등 관광업, 전통시장,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
이후 전 도민이 합심해 전통시장 장보기, 온누리상품권 구매,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 금융자금지원, 지역농산물 팔아주기, 직거래장터운영, 구내식당 휴무확대 등의 노력을 기울여 지역경제가 점차 회복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