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과 충북 청주·충남 천안의 도시재생 선도지역에 정부재정·주택도시기금·민간투자 등 약 1조2000억 원이 투입돼 쇠퇴한 도심을 되살리고 창조경제의 거점으로 조성하는데 활용된다.
국토교통부는 도시재생특별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의 심의를 거쳐 3개 도시재생 선도지역의 도시재생 활성화계획 수립 및 변경을 완료했다고 14일 밝혔다.
청주는 활성화계획이 처음 수립됐고 부산과 천안은 지난해 말 수립된 활성화 계획이 변경됐다.
도시재생 선도지역은 도시재생을 긴급하고 효과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고 파급효과가 큰 지역으로 지난해 4월 도시재생특위의 심의·의결을 통해 13개 지역이 지정됐다.
이번 특위 결정에 따라 국토부는 2017년까지 3개 지역에 마중물사업비 1126억 원(지방비 50% 포함)을 지원하고 문화체육관광부 등 11개 관계부처도 19개 사업에 1412억 원을 부처협업사업비로 지원한다. 22개 사업에 712억 원 규모의 지자체사업도 함께 추진된다.
또한 주택도시기금의 출자·융자 지원이 확정된 청주·천안 민간투자사업 등 총 8개 사업에 8518억 원 규모의 도시재생 민간투자 사업 추진이 가능하게 됐다.
지역별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부산 선도지역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
부산 선도사업은 부산항 기능 이전 등으로 공동화되고 있는 부산역 및 북항 재개발지역 일원 3.12㎢를 대상으로 38개 5952억 원 규모의 사업이 추진된다.
이번 활성화계획 변경은 민간투자사업 추가 및 예산의 효율적인 집행을 위한 마중물사업 통폐합을 목적으로 이뤄졌다.
|  | | ↑↑ 부산시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 | ⓒ 뉴스랜드 | | 이에 따라 북항 재개발지역 내의 부산항만공사 소유 부지에 민간자금을 유치해 교통환승·상업·업무시설을 도입하는 ‘북항환승센터 건립사업’(추정 사업비 3000억 원) 추진이 가능하게 됐으며, 마중물사업도 부산역 광장을 전반적으로 재구축하는 창조경제플랫폼사업을 중심으로 21개 사업을 11개 사업으로 통합했다.
창조경제플랫폼은 청년 창업공간 마련, 입체공원화 등 부산역 광장 전체를 창조경제 실현공간으로 조성하는 사업이다.
◆ 청주 선도지역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
청주 선도사업은 2년마다 ‘국제공예비엔날레’가 개최되는 청주시 소유의 옛 연초제조창 일원 1.36㎢를 대상으로 추진된다.
이 지역은 오송·오창 등 외곽개발에 따라 산업체 이탈·인구감소 등 공동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곳으로 14개 3114억 원 규모의 다양한 사업을 통해 문화업무 중심지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  | | ↑↑ 청주시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 | ⓒ 뉴스랜드 | | 교통흐름 개선을 위한 주변도로 확장, 문화업무시설 건립 등 5개 500억 원 규모의 마중물사업과 문체부의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건립사업 등 6개 896억 원의 부처협업사업이 추진된다.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은 옛 연초제조창 본관동 일부를 문체부 예산으로 리모델링, 미술품 보관 및 전시시설로 활용하는 사업이다.
특히, 옛 연초제조창 리모델링 등을 통해 업무·상업·문화·숙박기능을 도입하는 복합문화레저시설 및 비즈니스센터·호텔사업은 부지·건물 소유자인 청주시의 현물출자, 주택도시기금의 출자·융자를 통해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하게 된다.
◆ 천안 선도지역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
천안 선도사업은 신도심 개발 등으로 쇠퇴하고 있는 동남구 천안역 일원 0.2㎢를 대상으로 22개 2702억 원 규모의 사업이 추진된다.
이번 활성화계획 변경은 신규 민간투자사업과 부처협업사업을 반영하기 위해 실시됐다.
이에 따라 현 동남구청 부지에 주택도시기금의 출자·융자 등을 통해 복합시설을 건립하는 민간투자사업이 가능하게 됐으며 지난해 12월 문체부의 ‘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 등 활성화 계획이 최초 수립된 이후에 확정된 3개의 부처협업사업도 계획에 반영됐다.
|  | | ↑↑ 천안시 도시재생활성화계획. | ⓒ 뉴스랜드 | | 동남구청 복합개발은 소유자인 천안시의 현물출자, 기금 출자·융자 등을 통해 복합청사, 어린이회관, 지식산업센터 등을 건립하는 민간투자사업이다.
국토부는 3개 지역의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이 특위의 심의를 통해 확정됨에 따라 발주·착공 등 사업추진이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주택도시기금 지원이 확정된 청주·천안 도시재생 민간투자사업은 내년에 민간사업자 공모 등을 거쳐 사업추진을 위한 특수목적회사(SPC) 설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도시재생사업을 다양한 부처 사업들과 연계·통합하고 관련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관계부처 및 지자체와의 협업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또한 새로운 경제기능을 도입해 고용기반을 창출하는 등 지역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사업으로 도시재생 성공모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